2015년도에 만들면서 정리하던 자료임
LM가이드 블럭 주의점
기존의 연마봉에 비해 흔들림이 작은게 장점일까? 여하튼 분리하면 아래 사진과 같다. 처음에 멋모르고 블럭만 따로 빼서 놓고 했는데, 분리할 경우 저 위에 쇠구슬이 잘 빠진다!!

쇠구슬을 저 얇은 철사가 지탱하고 있는데 가이드를 빼면 헐거워진다!!
난 방에 이상한 쇠구슬이 굴러다니길래 뭔가 했었는데 정말 몰랐다!! (뭐지? 하면서 버려버렸.. ㅜㅜ) 지금 몇개 어디론가 사라지고 비어있음 ㅜㅜ (저게 얼마짜린데에에에~)
SSR(Solid State Relay)의 선택 : 릴레이 종류 중 하나로 기존의 마그네틱 릴레이들이 전기가 붙었다 떨어졌다 할 때 소리가 나는데 비해 SSR은 반도체로 구동이되므로 무소음이 특징
제어신호 – 제어할 전원으로 VAC-VAC(교류-교류), VAC-VDC(교류-직류), VDC-VAC(직류-교류), VDC-VDC(직류) 총 4가지로 구분 된다.
현재는 SMPS에서 12V DC로 제어할 전원이 공급(최대 50A)되고, 제어 신호도 12V DC 이므로 VDC-VDC 제품을 선택해야 하고, 전압의 크기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선택한 제품은 DC INPUT 4~32V / DC OUTPUT 5~24V, 30A 사용할 수 있는 넘이다.
(히팅배드가 10A 정도 되니까 두개를 연결 하면 20~25A 정도 될듯 하므로 30A 짜리를 선택. 25A를 선택하고 싶었지만 구하기가 힘듦)
향후 히팅배드를 자작하게 된다면 히팅배드는 220V 교류 전원에 꽂아 쓰게 될 것이므로 VDC – VAC 제품으로 선택해야 할 것이고, 통상 230VAC 의 경우 7.5A 정도 나오니까 (히팅배드가 얼마나 쓸지는 모르겠지만) DC INPUT 4~32V / AC OUTPUT 50~240V, 15A나 8A를 쓰면 될것 같다. (헐 이게 싸네!!)
여하튼 발열이 심하므로 방열판도 같이 써야함

이렇게 생겨먹었음 ㅋㅋ
전선의 선택
전류량에 따라서 전선의 굵기가 달라져야 하는데, 전류량이 많은데 전선을 얇은거 쓸 경우 심한 발열과 함께 타게됨

히팅 배드쪽 두개 물리는 전선이 2.5 SQ(단면적)이니까 25A ~28A 정도는 버틸듯 (AWG 17 참조)한데..
릴레이가 30A 까진데 ㅋㅋㅋ 위험하지 않을까?? 과전류가 흐른다면 먼저 전선이 타면서 릴레이가 떨어지겠지? ㅋㅋㅋㅋ 뭐 보드는 릴레이가 보호하고 있으니 상관없을거 같긴 하지만..
아래는 신기해서 구입해 본 탈피커넥터 터미널 블럭 4구짜리. 전선 껍질 안벗기고 그냥 물려서 사용하는 넘으로 1개의 선에서 3개의 선까지 확장 가능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