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로 이미지 제작

생성형 AI로 이미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번째는 자신의 컴퓨터에 오픈소스인 Stable Diffusion Web ui를 직접 깔아서 쓸 수가 있다.

아무래도 오픈소스를 직접깔다보니 자신의 컴퓨터 하드웨어 사양(성능)을 많이타고 셋팅의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개인화가 가능하고 오픈소스여서 업데이트가 빨라 이런저런 여러가지 신(?)기능들을 빨리 적용시켜 볼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도 처음에는 공부할 요량으로 Web ui를 직접 컴터에 설치해봤는데, 내가 컴터 맞춘지도 거의 5년이 넘어가고 AMD 그래픽카드를 쓰다보니 설치하다가 몇번을 실패하고(원래 엔비디아 클픽카드가 스탠다드임), 겨우 설치가 되었음에도 에러로 인해서 그래픽카드 GPU를 쓰는 것이 아니고 CPU쪽 그래픽을 땡겨쓰는 형태가 되어 생성 속도가 너무 느려서 1차로 포기했다.

2차, 3차로도 몇번 시도하다가 결국 컴터를 바꾸지 않는 이상 힘들다는 쪽으로 결론 내렸음

두번째는 생성형 AI 이미지를 웹사이트에서 제작하는 방법으로 예전에는 생성형 AI 이미지만 제공했지만 요즘은 점점 생성형 AI를 이용한 동영상 제작까지 지원해 주는 추세이다

대표적으로 가장 유명한 미드저니(Midjourney)외 DreamStudio, Jasfer Art, Dream by Wombo 등이 있는데, 어떠한 환경에서도(컴터, 폰, 패드 등등 웹사이트에 붙을 수만 있다면 어디서든 작업가능) 생성속도가 빠르고 쓰기가 나름 쉽다는 장점이 있으며 다른 여러사람들이 작업한 내용(프롬프트 외)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유료(물론 무료도 있긴하지만 속터짐)이고 야하거나 불법적인(?)것은 생성을 할 수 없으며, Web ui에 비해 커스터마이징도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Web ui 설치를 실패하고 미드저니 사이트에서 과감하게 결제를 하고 프롬프트를 이용해 이미지 생성!

망고가 처음 공장에 와서 우두커니 앉아있는 느낌의 그림을 만화 형식으로 나타내고 싶어 프롬프트를 넣어서 만들어봄.

다음은 망고가 처음 공장에 올 때 차안에 안겨서 오는 이미지를 만들어봤는데, 이게 차안에서 사람에게 안길려면 작은 강아지의 느낌이 강한지 AI가 맘대로 자꾸 강아지 쪽으로 가서 조금 큰 개로 바꾸느라 몇번 더 작업

마지막으로 망고가 처음와서 사람이 먹이 준다고 다가갈때의 이미지 제작

미드저니 버젼 및 옵션에 따라서 느낌이 다르게 나오기는 하는데 아직까지는 잘 모르겠네요

좀 더 써봐야지 알겠음

답글 남기기